https://youtu.be/iEkActQfMz0
상기 주소를 유튜브에서 검색하시어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동영상을 한번 보세요.
유럽 튜너들 뒷면 안테나 연결 단자가 300 옴이 있습니다.
외국 안테나 박사들 실험 결과로는 300옴은 75옴 포터형에 비하여 정숙도가 아주 좋다고 합니다만 우리나라는 300옴 안테나 사용자는 거의 없습니다.
한국 오디오 계나 아마추어 무선계 300옴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아마도 축소지향적인 일제 안테나 영향을 받은 것 같기도 하고 ...
아니면 아직 우리나라 오디오 계는 소리 맛을 미처 모르는 단계가 아닐까 ..하는 정도지 저도 잘 모릅니다.
암튼 자작으로 즐기시는 것은 몰라도 제품을 만들어 상품화 하면 하시면 바로 망하고도 남을 나라이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300옴 급전부는 전위 0 에서 시작하여 full 사이즈로 0 전위로 급전하기 때문에 철 구조물로 건축 된 밀집 주거형태에서 일어나는 멀티패스 전파 지역에 탁월합니다.
설명이 다소 복잡해짐니다만 ..일반 포토형은 4/1 람다 360도 PICK UP 방식이라서 시차적으로 도달하는 회절전파에 소리가 갈라지거나 탁해지기 쉽습니다.
,,,,,,,,,,,,,,,,,,,,,,,,,,,,,,,,,,,,,,,,,,,,,,,,,,,,,
유니크한 예술성 높은 조각 디자인을 하시는 어느 오디오 동호인이 로테 튜너를 장만하셨는데...아시다 싶이 로데 튜너는 일반 튜너들처럼 간단한 lbf bpf 시정수 변조나 복조 회로가 아니고 L R 스테레오 분리 성능을 높이는 mpx unit 을 별도로 만든것이 로데 데코딩 유닛인데 거의 측정기 개념으로 잘 만든 오디오 제품입니다.
방송국 전파에 19khz 파일롯 인코딩으로 날러 보내신호를 L/R +/-연산 클럭시 38khz 부 반송파로 bpf 할 때 회로적으로 fm 노이즈가 취약 합니다만 그부분을 깔끔하게 해결 하는것이 바로 rf 초단의 걸리는 전압 이득으로 가능한것이 바로 정숙도 높은 fm 음색을 인간이 즐 길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참고로 그동안 필드에서 직접 실험 해 본 결과로는 모노시 깔끔한데..스테레오 기능에서 미약하게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하는 상태라면 입력 전압 이득의 마지노 선입니다.
측정기로 측정해보면 금방 알게 됩니다만 튜너 MPX 구동 전압 대여폭이 워낙 넓지만 거의 마지노 선 전압입니다.
이때는 튜너를 손 보신다는 분들이 있는데...그건 황당한 해결 방법입니다,
투너는 불량이 아니니 절대 손보시려고 덤비지 마시길 바랍니다.
공중선 컷팅 전파 에너르기)을 약 3dbm 정도만 올려줘도 완벽하게 스테레오 구동이 됩니다.
즉 안테나를 보강 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오디오 동호인분들이 직접 자기 오디오 시스탬으로 93.1을 청음하면서 실험 해보시려면
튜너 전명 기능 중
모노 와 스테레오 선댁 스윗치를 변환하면서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색의 품질을 귀로 판독해보시고 정숙도가 변화 없다면
나름되로 93.1을 즐길 수 있다고 판단하시고 음색이 조금이라도 귀감도로 차이가 발생 한다면 ...안데나를 보강 하시는것이 정답입니다.
단 상기 방법으로 테스트 할 경우는 ..당연히 좌우 분리형 음색과 중앙으로 몰리는 음색의 차이는 배재하시고 판단 하셔야 합니다.
튜너가 인간의 귀로 소리를 감청 할 때 좌우 완벽한 스테레오 분리를 하려면 의외로 튜너 입력 전압의 (마이크로 볼트) 이득 수치가 좌우한다고 보면 됩니다.
그걸 느끼신 분은 튜너 음색은 시작도 안테나 마무리도 안태나라고 합니다.
즉 고급 튜너라 할지라도 종국적으로 깔끔한 음색 재생의 키는 내부 rf 회로에서 결정 되는 것이 아니고 외부에서 해결이 가능 하다라는 의미 입니다.
스테레오 분리 마지노 수신 증폭 대여폭이 -20db에서 + 30db 넓지만 예를 들어서 전계강도 기준으로 -20db 입력시와 + 20db 시 분리 음색은 정숙도나 해독도가 전혀 다릅니다.
검파단 전단에서 정숙도 낮아지면 자연 귀의 청음 해독도는 올라 갑니다.
실제 청음으로 비교 해보시려면 조용한 오디오 룸이 아니고 도로 노이즈가 다소 발생하는 밖에서 두종류의 안테나를 번갈아 비교 테스트해보면 금방 라디오 해독도나 직진성이 크게 달라지는 점을 귀로 느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아직 우리나라는 오디오 초기 나라여서 실제로 그 차이를 전혀 모르시고 자기 오디오 시스탬을 즐기시는 분이 제법 있다는 것입니다.
시간이 걸리겠지요.
솔직히 좋은 소리 재생과는 별 관계 없는 다소 황당스런 오디오 케이불? 이야기는 오디오 사이트에서 많이 회자 되지만 음색에 가장 중요한 데코더 이 부분을 언급하시는 분은 아직 본적이 없습니다만 귀가 예민하신 클래식 애호가라면 오디오 시스탬 구성도 중요하지만 정작 그 시스탬 MPX 구동으로 재생되는 소리 품질에서는 튜너 초단 입력 전압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흔히 아나로그 튜너 소리가 좋다고 합니다
맞는 이야기 입니다.
기술이 발달하고 pll칩이 소형화 되면서 디지탈 튜너단 은 이제 오백원 짜리 동전 사이즈 만큼 작아졌습니다.
소형화 장점이 결국 아나로그 튜너 소리 감성을 읽어 버린 결과 물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귀하가 소장하고 있는 아나로그 튜너에서 아주 정숙한 소리 재생을 위해서는 가능한 + 10db이상 튜너 초단에 걸어 주는 것이 좋다라는 생각입니다.(그동안 실 결험에 기준)
그리고 이건 다른 이야기 입니다만
검파단 전단에서 정숙도 낮아지면 자연 청음 해독도는 올라 갑니다.
실제 청음으로 비교 해보시려면 조용한 오디오 룸이 아니고 사회 도로 노이즈가 다소 발생하는 밖에서 두종류의 안테나를 번갈아 비교 테스트해보면 금방 라디오 해독도나 직진성이 크게 다라지는 점을 귀로 느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아직 우리나라는 오디오 초기 나라여서 실제로 그 차이를 전혀 모르시고 자기 오디오 시스탬을 즐기시는 분이 제법 있다는 것입니다.
드물지만 억단위 오디오 시스탬을 구축하신분이 소리가 갈라진다하여 가보니 멀티패스 음이 춤을 추고 있었습니다.
투너 톤 신호는 일정합니다.
소리의 크기에 따라 춤을 추는 af 출력 메타가 아님니다.
멀티패스 현상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고급 튜너들도 있는데..그분은 그 메타의 흔들림이 오디오 출력 메터로 인지하는지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었고..나는 그게 아니고 멀티패스를 잡아야 한다고 설명해도 ...
고가로 구입한 자기 튜너에대한 맹신이 앞서고내 기술을 못 믿더워 하는 눈치라서 그냥 철수 했습니다만
산업 경제 폭팔로 오디오 매니아도 아니신 분들이 돈 쓰는 맛으로 의외로 고급 오디오 시스탬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대화가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할수 없는 일이지요.
----------------------------------------
오디오 동호인분들이 자기 오디오 시스탬으로 간단하게 자신의 튜너 bpf 단에서 완벽하게 노이즈 없이 정숙도 구동이 되는지 안되는지 테스트 하는 방법으로는 그냥 튜너 전면에 있는 모노/스테레오 변화 스윗치를 변화해가면서 스피커에서 재생 되는 93.1 음색이 변화가 없는지 차이가 나는지 귀감도로 하셔도 됩니다. 차이가 난다면 안테나 측을 손 보시면 정숙도가 높아 질 것이구요
단 상기 방법으로 테스트 할 경우는 ..당연히 스테레오 시 좌우 분리형 음색과 모노시 중앙으로 몰리는 소리 분포 차이는 배재하시고 오직 음색과 노이즈 차이만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 하셔야 합니다.
일반 포터형 안테나는 사람의 키가 대충 fm 파장의 반파장 다이폴 형 이라서 가까이 가면 동조가 디튜닝되어 노이즈가 동반 되거나 혹은 베란다 방충망을 닫을 때와 열었을 때도 변합니다만 loop 풀사이즈 fm 안데나는 손으로 만져도 swr 값이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다시말해서 동조로 걸러 낸 93.1 mhz가 전혀 흔들림이 없다는 뜻입니다.
전에 아마추어 무선용의 145mhz 전용 loop 안테나를 자작하여
전파를 날려 본 적이 있는데..loop 안테나도 스택 메칭이 가능한데 메칭은 또 다른loop 안테나로 간격 조정으로 동조를 조정하는데 vswr 값이 0 까지 매우 메칭이 잘 됩니다.
메칭 c 값은 간격에 따른 유기 c 값이구요 .
그냥 아나로그 라디오에 장착 된 바리콘의 동조 이론과 동일하다라고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일명 나비 같다하여 ..빠삐용 안테나라고들 합니다.
수신력 실험은 남한산성에서 fm 으로 QRP 신호를 날렸을 때 대학로 마루니에 공원에서 일반 포터형 안테나는 수신이 거의 불가능했는데...300옴 스택으로 만든 빠삐용 안테나로는 수신이 매우 잘 되었구요.
물론 제 글을 이해하시는 분이라면 4/ 람다 포터형 안테나로 통해서 들어 오는 수신 해독도는 s/n 비가 loop 비해서 떨어지니 노이즈가 방송 신호 해독도를 떨어뜨린 결과도 일부 가미 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여러분도 직접 만들어 한번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혹 자작하시다가 어려움 있으면 미약한 기술자이지만 소리전자 동호인이라면 기꺼이 자작에 도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